On the journey of
[뉴스레터] 마부뉴스 11/9 (AI로 만든 커버곡, 생성형 AI의 현재 외) 본문
AI로 만든 커버곡의 저작권 문제
유럽의 경우, AI가 창작한 글 등의 창작물의 경우 표시해야 한다고 못 박은 바 있다. 이제 글에 이어, '커버곡'까지도 AI가 침투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유튜브에 들어가면 아예 기존 노래에서 A 그룹 멤버들의 목소리를 각각 학습시킨 다음 B 그룹의 노래에 적용시킨 다음 이를 쇼츠 등으로 만든 경우가 많다(ex. https://www.youtube.com/watch?v=rzkHh_6WZMI)
르세라핌의 Unforgiven을 에스파가 커버한 것처럼 ... 만들었다. AI가.... 다채롭게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선 좋지만, 정말 아무 문제가 없을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이를 악용하면, 다른 사람인 척 사기친다던가 하는 등의 시나리오가 가능해지니까.
마약 정책, 치료 vs 처벌
마약이 전 세계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유명 연예인들 중 이미 마약혐의로 입건된 사람들도 있고, 실제 처벌을 이미 받은 사람도 있다. 그러나 이들 중, 마약을 '향유하기 위함'이 아닌 실제 치료 용도로 사용한 경우는 억울할 것이고 분명 이런 사례는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여론은 처벌을 우선해야 한다는 쪽으로 기울었다.
생성형 AI
이 블로그를 통해, 나는 생성형 AI에 대해 지속적으로 논문읽기 등의 공부를 기록해 왔다. GAN이라는 이름으로 대표되는 생성형 AI는 기본적으로 이용자가 제시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스스로 데이터를 찾고, 학습한다는 점에서 모델을 사용자가 제공하는 데이터로 학습하는 ML 모델 등과 차별점이 있다. 가장 대표적인 생성형 AI인 LLM, 그리고 이제 ChatGPT라는 이름이 붙는 모델일 것이다. 이에 LLM(Large Language Model ; 대규모 언어모델)을 활용한 LLaMa(메타), Bard(구글) 등의 모델이 쏟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GPT-4(유료 버전)의 경우에 이미지도 사용할 수 있게끔, Multi-Modal로 업데이트 되었다.
그러나 이런 상황에서, 앞선 "AI 커버곡" 과 함께 생각해봐야 할 점이 있다. 저작권 보호 이슈인데,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나온 AI 콘텐츠들이 달갑게 여겨지지는 않는다. 아직까지는 AI 커버곡 등은 많은 사람들에게, 특히 고인이 된 가수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는 점에서 해당 가수의 팬덤 등에게 큰 환영을 받고 있다.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기 전에 발 빠르게 음성권 등을 확실하게 보장하고, 저작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법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읽을거리 > 뉴스레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레터] 모비레터: BBC로 알아보는 미국인들이 전기차를 꺼리는 이유 (0) | 2023.11.13 |
---|---|
[뉴스레터] 디그 11월 10일(**티비 주의보, 내년 경제성장 전망 외) (0) | 2023.11.10 |
[뉴스레터] 디그 11/8 (데카콘의 몰락, 소프트뱅크 비전펀드 외) (0) | 2023.11.08 |
[뉴스레터] 캐릿 vol.180(11/7) 트렌드 톺아보기 (0) | 2023.11.07 |
[뉴스레터] 당근메일 #161 : '후카츠식 프롬프트' (1) | 2023.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