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the journey of

[뉴스레터] 디그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역사와 전쟁) 본문

읽을거리/뉴스레터

[뉴스레터] 디그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역사와 전쟁)

dlrpskdi 2023. 10. 11. 10:45
전쟁 : 팔레스타인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공격

10/7일 새벽(현지 시각 기준) 팔레스타인의 무장단체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기습공격하면서 전쟁이 시작되었다. 원래도 '중동의 화약고' 라고 불릴 만큼 언제 터질지 모르는, 그야말로 일촉즉발의 폭탄 같은 존재였기에 놀랍진 않지만 우려....가 크다. 

전개(지금까지)

이스라엘 총리는 첫 기습공격 이후 전쟁을 선포했으며, 30만 예비군까지 동원하면서 현재 양측에서 집계한 사망자가 1800명을 넘어섰다. 그 과정에서, 이스라엘은 가자 지구를 포위하게 되는데...

하마스가 뭔데

무장단체 하마스는 이스라엘 내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거주하는 서안지구와 가자지구가자지구에서 사실상 정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단체이다. 그렇다면 이들은 갑자기 왜 이스라엘에 기습공격을 가한 걸까. 

 

거슬러 올라가보자.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영토 분쟁은 하루이틀 일이 아니다. 약 100여 년 전부터 지속되어 왔는데, 그 시작은 종교라고 볼 수 있다. 현재 이스라엘 땅은 이슬람뿐 아니라 유대교, 기독교에도 유의미한 땅이었기 때문에, 유대인들이 먼저 이곳에 자리잡고자 노력한다. 그러나 모두가 아는 유대인 박해가 시작되면서 1948년이 되어서야 국가 수립 선언이 이뤄졌던 것. 

 

그렇지만 빈 땅이 아니었다. 이미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살고 있었는데, 국가 수립 선언에 의해 갑자기 삶의 터전을 뺏겨버리는 건 또 말이 안 된다! 하면서 벌어졌던 것이 제1차 중동전쟁이다. 그 후에도 제4차 전쟁까지 전쟁이 이어졌고, 팔레스타인은 그냥 기습한 게 아니라 뺴앗긴 영토를 되찾기 위한 무장 투쟁이라는 입장. 

 

주변국들은? 

이슬람교는 크게 수니파와 시아파로 나뉘는데, 수니파의 종주국은 사우디아라비아이며, 시아파의 종주국은 이란이라는 차이가 있다. 이때 사우디아라비아와 이스라엘의 관계는 미국의 중재로 화해 분위기를 조성하던 중, 외교적으로 고립될 것을 우려한 이란이 기습을 종용한 것 아니냐는 얘기는 이래서 나온 것. 그렇지 않아도 수니파가 90% 이상, 즉 대부분의 지분을 차지하는 상황이므로...부디 제5차 전쟁으로만 번지지 않았으면, 일시적인 분쟁으로만 끝났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 외...

중국으로 가는 여행객 수 감소
미국의 규제 적용 무기한 연기

 미국은 지금까지 한국의 반도체 기업들 중 중국에 공장이 있는 기업들에게, 중국 공장에는 좋은 제품 등을 보내지 말라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 한국 본사에선 써도 괜찮다는 입장이었다. 설비 보수 등이 필요할 땐 무조건 미국의 논의 및 허가를 거치라는 조건도 있었다(단, 삼성, SK하이닉스 등에 대해선 1년이라는 유예기간을 주었다). 이 조건은, 최악의 경우 기업들이 제3국으로 공장을 이전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으로 나온 것으로 알려져 있을 만큼.... 악성 조건인데, 이 조건 적용이 무기한 연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