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the journey of
[뉴스레터] 미라클레터(월드코인, 그 후폭풍, 홍채인식) 본문
머니네버슬립 한번 더 할까 하다가 같은 거 2연속보단 그래도 (!) 번갈아 포스팅하는 게 낫지 않을까 싶어 미라클레터로~
1. 초거대 AI(궁극의 AI)
Open AI 의 창업자인 샘 올트먼은 투자자 및 물리학자 둘과 의기투합하여 초거대 인공지능을 만들면서 실제 사람처럼 투자, 전자상거래 등을 하는 AI를 상상했다고 한다. 이러면서 등장한 용어가 인공일반지능(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 AGI). 그리고 이런 일반지능 중 경제활동을 학습시키기 위해 보편적 기본 소득을 생각하기에 이르른다.
- 보편적기본소득 - 국민에게 무조건적으로 일정량의 현금(재화)을 제공하는 보편적 복지제도
- 실제로 샘 올트먼은 기본소득제를 실험해본 바 있다. 와이콤비네이터 재직 당시 직원들에게 매달 1500달러를 지급했던 것
- POH(인류의 증명; Proof of Humanity) 프로젝트 또한 유사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 그러나 엄청난 재원이 요구되며, 근로 의욕을 꺾어버릴 수도 있다는 문제점 때문에 현실화가 어려운 상황이다.. (당장 우리나라의 청년수당 관련해서도 취업 안 하고 보조금 타는 게 더 이익 아니냐는 비판이 있으니)
- 인공일반지능 -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않은, 모든 상황에 투입될 수 있는 인공지능
2. 월드코인
비트코인과 이름이 매우 비슷하다. TFH(Tools for Humanity)라는 스타트업을 설립하면서 동시에 코인 발행을 이ㅜ한 월드코인재단을 만든 것. 위 세 명이 만든 재단으로, 인공지능이 경제적 활동을 할 때 사람과 AI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이에 대한 보안정책을 반영해 월드코인 앱을 통해 보편적 기본소득을 지급하는 방식을 정했다.
1. 월드코인 앱 다운로드
2. 앱 상의 오퍼레이터들이 유저들의 QR코드 및 홍채 정보 수집 (Orb라는 이름의 자체적인 카메라가 있다)
3. 홍채데이터는 고유인식번호로 암호화되고, 블록체인에 저장된다. 해당 번호가 월드코인 앱의 ID가 된다
4. 매주 1회 1코인을 무료로 지급
즉 생체정보를 활용하는 방식이 된 것. 그러나 무료지급 + 가입이벤트로 인해 하루 가입자가 폭증하면서 코인 가격은 1.2$로 하락하는 양상이 되어버렸다. 또한, 홍채데이터 수집이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지에 대한 논란도 커지면서 이미 6개 국가는 월드코인 조사에 나섰다(아르헨티나,영국, 프랑스, 독일,케냐,포르투갈).
3. 월드코인의 후폭풍
월드코인은 코인가격 하락과 데이터 수집 관련 논란을 키웠을 뿐 아니라, 다른 후폭풍도 불러왔다.
- 1. 데이터 양극화 : 단일 언어로 된 대규모 시장은 미국과 중국에만 있다. 인공지능은 데이터를 학습시켜 나온 결과물이기 때문에 데이터 양극화가 이뤄지는 순간 수익 양극화는 수반될 수밖에 없다는 데서 나온 논란. 이를 '인공지능 식민주의'라고 비판한다.
- 2. 해킹 등 보안 상의 문제가 있을 경우 위험의 규모가 커질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
- 3. 월드코인은, 분권화를 base로 하는 블록체인을 중앙화한다는 점에서 기술의 평가절하
주제는 하나지만 복지(공공경제)와 연관지어 방향성을 수립하고, 생각해볼 수 있는 레터였다고 본다 :)
'읽을거리 > 뉴스레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레터]09/12 뉴닉(G20, 모로코 대지진, 연이은 교사 사망사건 외) (0) | 2023.09.12 |
---|---|
[뉴스레터] 머니네버슬립(인플레이션,증시 모멘텀, 엔비디아, 메타, 아마존 외) (0) | 2023.09.11 |
[뉴스레터] 뉴닉(신냉전|삼성전자|사이버불링|이상기온) (1) | 2023.09.07 |
[뉴스레터] 머니네버슬립 (증시,국제유가,디즈니 외) (0) | 2023.09.06 |
[뉴스레터] 테크스낵(인스타카트, 아마존, 틱톡) (0) | 2023.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