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307)
On the journey of

Original Paper) InfoGAN: Interpretable Representation Learning by Information Maximizing Generative Adversarial Nets arXiv link ) https://arxiv.org/pdf/1606.03657.pdf Abstract 💡 InfoGAN GAN + Information-theoretic(정보 이론) 정보 이론의 아이디어를 GAN에 붙여 확장시킨 모델 완전한 비지도 방식으로 **Disentanlged representations(분리된 표현)**을 학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InfoGAN은 아래와 같은 데이터에서 유의미한 특성을 분리해냈다. MNIST 데이터 세트의 숫자의 각도, 너비 3D 렌더링된 이미지에서의..

1. 해시 > 베스트앨범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579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Q. 문제 설명 스트리밍 사이트에서 장르 별로 가장 많이 재생된 노래를 두 개씩 모아 베스트 앨범을 출시하려 합니다. 노래는 고유 번호로 구분하며, 노래를 수록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속한 노래가 많이 재생된 장르를 먼저 수록합니다. 장르 내에서 많이 재생된 노래를 먼저 수록합니다. 장르 내에서 재생 횟수가 같은 노래 중에서는 고유 번호가 낮은 노래를 먼저 수록합니다..

Select_Big Countries Basic Joins_Customer Who Visited but Not Make Any Transactions Basic Joins_Rising Temperature Subqueries_Employees Whose Manager Left the Company 595. Big Countries https://leetcode.com/problems/big-countries/ (아래 첨부) Big Countries - LeetCode Can you solve this real interview question? Big Countries - Table: World +-------------+---------+ | Column Name | Type | +-----------..

GAN Original Paper ) https://arxiv.org/abs/1406.2661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We propose a new framework for estimating generative models via an adversarial process, in which we simultaneously train two models: a generative model G that captures the data distribution, and a discriminative model D that estimates the probability that arxiv.org 꽤나 클래식한 논문이다. Cite 횟수도 4만 여 건 이상인 획기적이면서도 생성모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