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AWS (10)
On the journey of

Lambda를 활용해 서비스를 배포한다고 해보자. 이 경우 크게 아래의 흐름을 따라가게 된다. Function 생성 function type language 선택 코딩 이벤트 생성 테스트 배포 배포 버튼 클릭 함수 URL 생성 Lambda의 장점은 아래와 같이 크게 4가지가 있는데, 디버깅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유연한 스케일링: Lambda 함수는 요청에 따라 자동으로 스케일링되므로 사용자의 부하에 따라 자원을 최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높은 가용성: Lambda는 다중 가용 영역에서 실행됩니다. 따라서 Lambda 함수가 실행되는 동안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가용 영역에서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효율적인 비용 관리: Lambda 함수는 실행된 시간에 대해서만 과금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

클라우드 서비스 | 클라우드 컴퓨팅 솔루션| Amazon Web Services Amazon Web Services는 안정성이고 확장 가능하며 저렴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무료로 가입할 수 있으며 요금은 사용한 만큼 지불하면 됩니다. aws.amazon.com 사용자 요청 패스에 따라서 비용 지불 버킷으로 데이터가 들어오는 것은 공짜 데이터를 꺼낼 때는 돈 지불 필요 스토리지 : 저장 용량에 대한 비용 요청 및 데이터 검색 : 요청에 대한 비용 Amazon S3 Intelligent-Tiering, 아카이브 액세스 계층 추가 | Amazon Web Services AWS는 2년 전에 S3 Intelligent-Tiering을 출시하면서 데이터 액세스 패턴을 깊이 이해하지 못해도 S3를 활..

commission boundary 권한 경계 -조기에 다중 계정 전략 개발 & 비즈니스 요구 진화에 따라 전략 구체화 계정마다 자원들을 정리할 수 있다 각각 계정마다 결제 처리 따로 할 수 있다 정확히 식별 가능 계정이 많아지면 문제가 된다! 계정은 권한 제한을 받지 않는다. 회사 전사적 입장에서 제한을 걸고 싶은데 그냥 제한을 걸 수 없다. root 사용자는 제한을 받지 않는다. 결제 프로세스 여러 번 반복하면 좋지 않다. 여러 계정들을 한 번에 묶어서 통제하거나 통합 결제 원한다 → AWS Organizations SCP(Service Control Policy) : JSOn 정책 root 사용자 역시 허용된 작업만 할 수 있다! root 사용자 통제 가능 → 반드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똑같은 정책..

클라우드 컴퓨팅 : IT 리소스를 서비스처럼 사용하여 작업을 진행 => CSP(Cloud Service Provider): AWS / GCP / Azure / KT / Naver... => MSP(Managed Service Provider): MZC(교육 제공 등 csp랑 협업관계) 온프레미스 : IT 리소스를 직접 소유한 상태로 작업을 진행(데이터 센터나 서버실 구축 등으로 클라우드랑 반대되는 과거 개념) 물리적 작업 신경쓸 필요가 없다 접근하고 싶어도 물리적으로 접근할 수 없다 AWS가 데이터 센터 위치를 공개하지 않는다(보안상) 클라우드를 사용한다고 해서 무조건 비용이 절감되는 것은 아니다. 잘 써야 한다. 하나 이상 묶어서 관리 = AZ 각각 AZ 센터들은 고속의 광케이블로 빠르게 연결 가능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