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디지털파워온 (5)
On the journey of

Python 클라우드는 다 빌려서 사용함 서버리스는 서버가 없다는 것이 아니라, 준비된 서버가 없다는 것(사용자가 요청한 후 만들어지는 것) 자바가 강세였지만, 이제는 파이썬(전 세계적으로 대세, 인공지능이나 데이터 분석을 하고 있음) ec2로 인스턴스를 만드는 것 파이썬을 개발하려고 만드는 것 security 다 맞고, 일부만 열어놓는 거 windows+r cmd 자바보다 오래된 언어(1991) 라이브러리가 가장 많이 제공된다 파이썬으로 AI 개발, 데이터 분석에 사용을 많이 한다 고대 그리스 신화의 뱀 만든 사람 : 귀도 반 로섬(네덜란드) 왜 만들었을까? 크리스마스 때 심심해서 왜 파이썬? 내가 좋아하는 티비 프로그램 이름이 monty python’s flying circus(이름은 작명하는 사람 ..

commission boundary 권한 경계 -조기에 다중 계정 전략 개발 & 비즈니스 요구 진화에 따라 전략 구체화 계정마다 자원들을 정리할 수 있다 각각 계정마다 결제 처리 따로 할 수 있다 정확히 식별 가능 계정이 많아지면 문제가 된다! 계정은 권한 제한을 받지 않는다. 회사 전사적 입장에서 제한을 걸고 싶은데 그냥 제한을 걸 수 없다. root 사용자는 제한을 받지 않는다. 결제 프로세스 여러 번 반복하면 좋지 않다. 여러 계정들을 한 번에 묶어서 통제하거나 통합 결제 원한다 → AWS Organizations SCP(Service Control Policy) : JSOn 정책 root 사용자 역시 허용된 작업만 할 수 있다! root 사용자 통제 가능 → 반드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똑같은 정책..

클라우드 컴퓨팅 : IT 리소스를 서비스처럼 사용하여 작업을 진행 => CSP(Cloud Service Provider): AWS / GCP / Azure / KT / Naver... => MSP(Managed Service Provider): MZC(교육 제공 등 csp랑 협업관계) 온프레미스 : IT 리소스를 직접 소유한 상태로 작업을 진행(데이터 센터나 서버실 구축 등으로 클라우드랑 반대되는 과거 개념) 물리적 작업 신경쓸 필요가 없다 접근하고 싶어도 물리적으로 접근할 수 없다 AWS가 데이터 센터 위치를 공개하지 않는다(보안상) 클라우드를 사용한다고 해서 무조건 비용이 절감되는 것은 아니다. 잘 써야 한다. 하나 이상 묶어서 관리 = AZ 각각 AZ 센터들은 고속의 광케이블로 빠르게 연결 가능 A..

* 이 포스팅은 하나금융그룹 디지털파워온 1기 집중교육기간(2023.01.31~02) 동안 진행된 교육의 기록입니다. 💡 aws overview, network 물리적 서버 → 클라우드 콘솔-cmd 창 작업을 하는 사람들이 70% 이상, 현재는 쉽게 서버에 접속해서 클릭으로 작업 가능 web1990 (서버, 스토리지) → media2000(인터넷뱅킹) → it2010(페이스북, 구글) 하나의 서비스가 망가졌을 때 다 연결되어 있으면 걍 망하는데, 넷플릭스나 쿠팡, 토스의 경우 ms로 하나의 서비스가 망가지더라도 살아남을 수 있음 클라우드에서 중요한 세가지: 컴퓨팅가상화, 네트워크가상화, 스토리지가상화(서버가상화?) 200개 이상의 서비스 보유로 클라우드 세상을 이끈다 고객사로 초반에 삼성전자부터 스타트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