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국채 (2)
On the journey of
주요 주제 - 미국의 금리 인하 시점과 금리 인하의 영향 - 금리 인하에 따른 대기성 자금의 움직임과 불확실성 - 공모주 시장과 파킹형 금융 상품의 자금 흐름 - 인터넷 은행의 중금리 대출과 고신용자 대출 문제 미국의 소비자 물가지수 - 미국의 3월 소비자 물가지수가 1년 전보다 3.5%나 오른 걸로 발표됨 - 미국의 금리 인하 시점이 6월보다 늦춰질 수 있는 숫자가 나옴 - 미국의 고용 상황 지표들도 최근에 보면 여전히 좋음 미국 국채금리 상승 - 미국의 10년물 국채금리가 4.5%를 넘었으면 우리나라 웬만한 저축은행에 저금하는 것보다 미국 국채를 사는 게 훨씬 이자 많이 준다는 뜻임 - 지난달에 있었던 FOMC 회의록을 보면 대부분의 연준 위원들이 올해 어느 시점에선가는 금리를 내리는 게 적절하다라고..
추석 연휴의 끝과 동시에 찾아온 주식시장 하락세 주가지수는 10/4일 기준으로 KOSPI 2.41%, 중소/벤처기업 중심의 KOSDAQ 지수는 약 4%로 가장 큰 하락세를 기록한 바 있다. 이는 미국 국채 금리로 인해, 우리나라뿐 아니라 일본 등 아시아 증시가 전체적으로 영향을 받았다는 분석이다. 국채 금리는 기본적으로 나라의 빚이라는 뜻이다. 때문에 국가가 파산하지 않는 이상, 원금과 이자 지급을 보장하는 만큼 회사채 같은 다른 채권들보다 안전한 편이고, 더군다나 이 국채의 주인이 (=채무자) 세계 경제를 이끄는 미국이라는 대국이라면? 더욱 믿음이 가지만 물가 상승률을 낮추기 위한 긴축적 통화정책으로 인해 기준금리는 동결하되, 대신 고금리가 유지되는 방향으로 가게 된 것. 미국의 국채 금리가 오르면 세..